본문 바로가기
형사법/형법

공무집행방해죄의 '폭행' 및 '직무를 집행하는'의 의미 / 2017도21537

by 연도사 2022. 4. 6.

공무집행 방해죄에서 말하는 ‘폭행’의 의미 및 구체적으로 직무집행의 방해라는 결과 발생을 요하는지 여부와 공무집행 방해죄에서 말하는 ‘직무를 집행하는’의 의미와 판단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공소사실을 무죄라고 판단한 원심판결에 공무집행 방해죄의 폭행이나 직무집행, 현행범 체포의 요건 등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입니다.

 

 

 

공소사실(사실관계)

피고인이 2016. 10. 13. 09:55경 전주시 완산구에 있는 ○○아파트 △△△동 지하주차장에서 공소외 1과 주차문제로 언쟁을 벌이던 중,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전주 완산경찰서 □□파출소 소속 경사 공소외 2가 공소외 1을 때리려는 피고인을 제지하자 자신만 제지를 당한 데 화가 나서,

 

손으로 공소외 2의 가슴을 1회 밀치고, 계속하여 욕설을 하면서 피고인을 현행범으로 체포하며 순찰차 뒷좌석에 태우려고 하는 공소외 2의 정강이 부분을 양발로 2회 걷어차는 등 폭행하였다.

 

이로써 경찰관의 112 신고처리에 관한 정당한 직무집행을 방해하였다는 것이다.

 

 

 

공무집행 방해죄에서 말하는 ‘폭행’의 의미 및 구체적으로 직무집행의 방해라는 결과 발생을 요하는지 여부(소극) / 공무집행 방해죄에서 말하는 ‘직무를 집행하는’의 의미와 판단 방법

형법 제136조에서 정한 공무집행 방해죄는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에 대하여 폭행 또는 협박한 경우에 성립하는 범죄로서,

 

여기서의 폭행은 사람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로 족하고 반드시 그 신체에 대한 것임을 요하지 아니하며, 또한 추상적 위험범으로서 구체적으로 직무집행의 방해라는 결과 발생을 요하지도 아니한다. 

 

한편 공무집행 방해죄에서 ‘직무를 집행하는’이란 공무원이 직무수행에 직접 필요한 행위를 현실적으로 행하고 있는 때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공무원이 직무수행을 위하여 근무 중인 상태에 있는 때를 포괄하고, 

 

직무의 성질에 따라서는 직무수행의 과정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각각의 개시와 종료를 논하는 것이 부적절하고 여러 종류의 행위를 포괄하여 일련의 직무수행으로 파악함이 상당한 경우가 있다.

 

 


공소사실을 무죄라고 판단한 원심판결에 공무집행 방해죄의 폭행이나 직무집행, 현행범 체포의 요건 등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피고인이 갑과 주차문제로 언쟁을 벌이던 중,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 을이 갑을 때리려는 피고인을 제지하자 자신만 제지를 당한 데 화가 나서 손으로 을의 가슴을 1회 밀치고,

 

계속하여 욕설을 하면서 피고인을 현행범으로 체포하며 순찰차 뒷좌석에 태우려고 하는 을의 정강이 부분을 양발로 2회 걷어차는 등 폭행함으로써 경찰관의 112 신고처리에 관한 직무집행을 방해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제반 사정을 종합하면 피고인이 손으로 을의 가슴을 밀칠 당시 을은 112 신고처리에 관한 직무 내지 순찰근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이와 같이 공무를 집행하고 있는 을의 가슴을 밀치는 행위는 공무원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로서 공무집행 방해죄에서 정한 폭행에 해당하며,

 

피고인이 체포될 당시 도망 또는 증거인멸의 염려가 없었다고 할 수 없어 체포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공소사실에 관한 증인들의 법정진술의 신빙성을 인정한 제1심의 판단을 뒤집을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다는 등의 이유로,

 

이와 달리 보아 공소사실을 무죄라고 판단한 원심판결에 공무집행 방해죄의 폭행이나 직무집행, 현행범 체포의 요건 등에 관한 법리오해 또는 제1심 증인이 한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할 때 공판중심주의와 직접심리주의 원칙을 위반한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댓글